제9장 중국의 변화와 문화 제9장 중국의 변화와 문화 1. 세계정세 속의 중국의 위치 (1) 이데올로기 시대에서 경제시대로 1) 공산주의 국가의 경제적 한계 2) 세계적 맹주로 부상한 중국 (2) 무섭게 변하는 중국의 위상 1) 소련의 붕괴로 얻은 반사이익 2) 맹주로 부상한 중국의 위상 2. 역사와 문화의 수정(동북공정과 대국굴기) (1) ..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제8장 한국경제발전의 암초, 공직 사회 제8장 한국경제발전의 암초, 공직 사회 1. 대한민국의 공직사회 이대로 좋은가? 공무원의 기본적인 복무는 국민을 계도하고 질서와 법안의 테두리로 인도해서 국민이 법을 알지 못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현장에서 발로 뛰는 일이다. 손으로는 현장의 결과물에 대한 보고와 더 나은 환경 개선을 위..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제7장 통일론에 대한 회통 제7장 통일론에 대한 회통 과연 통일로 가는 길은 햇볕정책, 대북포용정책 등으로 이뤄진 물질적 지원의 길 외에 다른 길은 없는가? 학자적 양심이나 종교적 양심자들은 아니 한국의 사상가들은 이 문제에 대하여 어떤 답을 내어 놓을 것인가? 남북 간에 물질과 선수들이 오고 가는 교류가 없다고 해도..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제6장 현대 한국정신문화의 특징 제6장 현대 한국정신문화의 특징 1. 1980년대의 문화 1) 뿌리 찾기와 3S 시대의 정신 1980년대 전두환 대통령의 독재정권은 민주화 운동을 희석시키기 위해 문화적 개념의 3s 정책(sex, screen, sports)을 장려했다. 한편으로는 5공화국의 정통성 문제에 대한 열등감 해소의 방편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새마을 운..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제5장 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접근 제5장 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접근 1. 안티문화 2. 공산주의 혁명이론이 한국의 민주화 운동의 배경이 된 경위 1) 세계 정세 2) 한국의 정세 3. 묵살문화와 반골문화 1) 유교문화권의 묵살문화 2) 민주화 시대의 반골문화 3) 동학과 반골문화 4. 광주와 DJ 1) 빛고을 광주와 DJ의 역학관계 2) 사기꾼 DJ 3) 광주의 ..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제4장 통일론에 대한 코드적 접근 제4장 통일론에 대한 코드적 접근 1. 박노자는 공산주의의 전도사 박노자의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호노프'로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 동방학부 조선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국립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공산주의 사멸(1991년) 이후, 2001년 한국..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제3장 독일의 통일모형, 한국형 통일모형이 될 수 있는가? 제3장 독일의 통일모형, 한국형 통일모형이 될 수 있는가? 1. 독일의 문화적 양태 학자에 따라 구분이 다를 수도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16세기는 종교개혁시대로 특정 한다. 17세기는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발달 시기로 18세기는 산업화 시대와 과학의 시대로 19세기는 열강의 할거와 식민지 시대로 20세기..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제2장 통일론에 대한 사상적 접근 제2장 통일론에 대한 사상적 접근 통일부는 대북지원창구인가? 아니면 김정일의 사금고인가? 북한에 다녀오기만 하면 사람이 완전히 달라진다. 마치 감기약에 취해 몽롱해진 것처럼 사람이 달라진다. 표정도 다르고 판단도 흐려지고 북한에 대하여 나오는 말도 달라진다. 북한에 다녀온 인사가 가장 ..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제1장 남북통일에 대한 담론 어디까지 왔나 제1장 남북통일에 대한 담론 어디까지 왔나 동서의 냉전시대 종식과 더불어 결실하게 된 동, 서독의 통일은 현재까지 분단되어 있는 한국의 특수성과 맞물리면서 통일론에 불을 지폈다. DJ는 햇볕정책으로 통일론에 접근하였고 MH는 여기에 서독의 통일론과 중국식 공산주의에 대한 호감까지 더하여 ..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접근 (서설)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접근 서설 나는 이 책에서 대한민국의 중심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의 언저리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그것은 한국인의 악한 근성에 대한 깊은 관심에서 출발되었다. 세 사람만 모이면 두 파로 갈리고 자신보다 나은 상대에 대한 좋은 평가는커녕 헐뜯고 물어뜯어 상처를 .. 남북통일론에 대한 문화적 담론 2009.10.20